chaesoo
so0ob
chaesoo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분류 전체보기 (169)
    • 알고리즘 (157)
      • 백준 다시풀기 (8)
      • solved.ac (137)
      • 백준 알고리즘 공부 (12)
    • 활동일지 (5)
    • 개발 (5)
      • Unity (4)
    • 책 공부 (2)
      • clean code (2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로스트아크 디코 봇
  • 구현
  • 유니티
  • C++
  • 클린코드2장
  • 문자열
  • 클린코드
  • 게임개발
  • 정보처리기사 2021 합격률
  • 소마13기
  • 백준
  • DP
  • 디코봇 파이썬
  • 알고리즘
  • 분할정복거듭제곱
  • 디스코드 봇 파이썬
  • 다시풀기
  • BFS
  • 자료구조
  • 다익스트라
  • 백준2448
  • 디코 봇
  • solved.ac
  • dfs
  • 플로이드-와샬
  • 분할정복
  • SW마에스트로 13기
  • 최단거리알고리즘
  • 백준미세먼지안녕!
  • 로아 디코봇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chaesoo

so0ob

알고리즘/solved.ac

[class3] (백준 1992) 쿼드트리

2021. 11. 25. 18:23

문제

흑백 영상을 압축하여 표현하는 데이터 구조로 쿼드 트리(Quad Tree)라는 방법이 있다. 흰 점을 나타내는 0과 검은 점을 나타내는 1로만 이루어진 영상(2차원 배열)에서 같은 숫자의 점들이 한 곳에 많이 몰려있으면, 쿼드 트리에서는 이를 압축하여 간단히 표현할 수 있다.

주어진 영상이 모두 0으로만 되어 있으면 압축 결과는 "0"이 되고, 모두 1로만 되어 있으면 압축 결과는 "1"이 된다. 만약 0과 1이 섞여 있으면 전체를 한 번에 나타내지를 못하고, 왼쪽 위, 오른쪽 위, 왼쪽 아래, 오른쪽 아래, 이렇게 4개의 영상으로 나누어 압축하게 되며, 이 4개의 영역을 압축한 결과를 차례대로 괄호 안에 묶어서 표현한다

위 그림에서 왼쪽의 영상은 오른쪽의 배열과 같이 숫자로 주어지며, 이 영상을 쿼드 트리 구조를 이용하여 압축하면 "(0(0011)(0(0111)01)1)"로 표현된다.  N ×N 크기의 영상이 주어질 때, 이 영상을 압축한 결과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입력

첫째 줄에는 영상의 크기를 나타내는 숫자 N 이 주어진다. N 은 언제나 2의 제곱수로 주어지며, 1 ≤ N ≤ 64의 범위를 가진다. 두 번째 줄부터는 길이 N의 문자열이 N개 들어온다. 각 문자열은 0 또는 1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으며, 영상의 각 점들을 나타낸다.

출력

영상을 압축한 결과를 출력한다.

제한

 

예제 입력 1

8
11110000
11110000
00011100
00011100
11110000
11110000
11110011
11110011

예제 출력 1

((110(0101))(0010)1(0001))

힌트

 

알고리즘 분류

  • 분할 정복
  • 재귀
#include <iostream>
using namespace std;
char arr[65][65];
int PrintTree(int startX,int endX,int startY,int endY)
{
    if (startX <= endX && startY <= endY)
    {
        char temp = arr[startY][startX];
        for (int y = startY; y <= endY; y++)
        {
            for (int x = startX; x <= endX; x++)
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if (arr[y][x] != temp)
                {
                    cout << '(';
                    int midX = (endX + startX) / 2;
                    int midY = (endY + startY) / 2;
                    PrintTree(startX, midX, startY, midY);
                    PrintTree(midX + 1, endX, startY, midY);
                    PrintTree(startX, midX, midY + 1, endY);
                    PrintTree(midX + 1, endX, midY + 1, endY);
                    cout << ')';
                    return 0;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}
        }
        cout << temp;
    }
    return 0;
}

int main()
{
    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    cin.tie(0);
    cout.tie(0);
    int N;
    cin >> N;
    string input;
    for (int i = 0; i < N; i++)
    {
        cin >> input;
        for (int j = 0; j < N; j++)
        {
            arr[i][j] = input[j];
        }
    }
    PrintTree(0, N - 1, 0, N - 1);
    return 0;
}
728x90
반응형

'알고리즘 > solved.a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lass3] (백준 2667) 단지번호붙이기  (0) 2021.11.27
[class3] (백준 2178) 미로 탐색  (0) 2021.11.26
[class3] (백준 1927) 최소 힙  (0) 2021.11.24
[class3] (백준 1697) 숨바꼭질  (0) 2021.11.23
[class3] (백준 1389) 케빈 베이컨의 6단계 법칙  (0) 2021.11.22
    '알고리즘/solved.ac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class3] (백준 2667) 단지번호붙이기
    • [class3] (백준 2178) 미로 탐색
    • [class3] (백준 1927) 최소 힙
    • [class3] (백준 1697) 숨바꼭질
    chaesoo
    chaesoo

    티스토리툴바